1. 스왑 메모리란?
리눅스에서 메모리를 확인하는 free 명령어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free -h
크게보면 '메모리'와 '스왑'으로 나뉜다.
'메모리'는 물리메모리(RAM),
'스왑'은 가상메모리(HDD/SDD 등)를 의미한다.
'스왑'은 시스템의 물리 메모리가 부족할 때, 가용 메모리를 논리적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메모리이다.
HDD/SDD에 데이터를 옮기는 swap in/out 과정을 거치다보니, 물리메모리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2. 스왑 메모리 설정 방법(파일 방식)
스왑메모리를 설정하는 방법은 파일 방식과 파티션 방식이 있다.
아래는 파일 방식으로 스왑 메모리를 설정하는 방법이다.
1) 활성화 된 스왑메모리 확인
swapon --show
2) 전체 스왑메모리 비활성화(전체)
swapoff -a
3) 스왑메모리 파일 생성(크기 : 10G, 경로 : /, 파일명 : swapfile)
fallocate -l 10G /swapfile
4) 스왑메모리 권한 설정
chmod 600 /swapfile
5) 스왑 메모리 영역 적용
mkswap /swapfile
6) 스왑 메모리 활성화(전체)
swapon -a
7) 재부팅 상관없이 스왑메모리 설정 영구 적용
vi /etc/fstab
#해당 파일 맨 아래줄에 다음의 소스 추가
/swapfile none swap sw 0 0
번외)
# 스왑메모리파일 용량 변경 fallocate -l {변경용량} {기존스왑메모리파일 경로}
swapoff -a
fallocate -l 4G /swapfile
mkswap /swapfile
swapon -a
# 스왑 메모리 삭제
swapoff -a
rm -f /swapfile
참조:
https://byungwoo.oopy.io/6971d74b-e13b-4e45-b855-ef891e29c260
http://www.chlux.co.kr/bbs/board.php?bo_table=board02&wr_id=290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리눅스 LVM(Logical Volume Manager) 개념 및 용량증설 방법 (0) | 2024.01.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