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를 수동으로 설정하는 경우, IP, 서브넷, 게이트웨이, DNS를 설정해야한다.

이것들은 무엇일까?



- IP(Internet Protocol) Addresss

컴퓨터 기기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주소.
IP주소 체계는 IPv4와 IPv6로 나뉨.


1) IPv4
8비트씩(0~255) 4블럭으로 이루어진 주소체계

192.168.1.54


(1) IPv4 클래스
A, B, C, D, E의 총 5개 클래스로 구분. 실제로는 A, B, C클래스에 속한 IP가 주로 사용 됨

클래스에 따라 IPv4 주소의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 영역을 식별 할 수 있음

예를들어 130.34.5.2와 130.34.3.35는 B클래스로,

네트워크 주소가 앞의 2블록인 130.34.xxx.xxx임.

같은 네트워크에서는 자유로이 통신 가능.

네트워크를 제외하고 남은 블록은 호스트 주소로 활용 가능.

B클래스의 범위는 2진수로 표현하면 10xx xxxx. xxxx xxxx. xxxx xxxx. xxxx xxxx. 

10진수로 표현하면 128.0.0.0 ~ 191.255.255.255임.

호스트 범위 주소는 뒤의 블록 2개가 표현 가능한 xxxx xxxx. xxxx xxxx.으로, (2^16) - 2개임.
(약 6만 5천개, -2는 네트워크 주소, 브로드캐스트 주소 사용으로 제외)


2) IPv6

16비트씩 8개의 블럭으로 이루어져 있는 주소체계

IPv4의 고갈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

2001:0db8:0000:0000:8a2e:0370:7334:FFFF

 

- Subnet

IPv4 체계에서 B클래스는 약 6만 5천개의 호스트를 할당할 수 있음.

그러나 필요한 IP개수가 200개 정도라면 나머지 6만 4천 800개의 IP주소는 리소스 낭비가 됨.

이러한 낭비를 해결하기 위해 서브넷 개념이 등장함.

서브넷은 네트워크 안의 네트워크로, 하나의 네트워크를 나누어 분배하는 개념임.

서브넷 마스크라는 개념으로 필요없는 IP는 가려서 사용하지 않음.

  • 11111111.00000000.00000000.00000000 = 255.0.0.0
  • 11111111.11111111.00000000.00000000 = 255.255.0.0
  • 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 = 255.255.255.128

 

- Gateway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관문.

동일한 로컬 네트워크 내에서는 IP주소와 서브넷마스크만 있어도 주변 컴퓨터와 통신이 가능하지만,

다른 네트워크의 컴퓨터와 통신하려면, 각각의 컴퓨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동일한 프로토콜로 변환해 주는 변환기(게이트웨이)가 필요함.

라우터는 게이트웨이 장비의 일종으로, 패킷을 다른 네트워크에 보내주거나 최적의 네트워크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도 함.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는 이러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유무선 라우터의 내부IP 주소임.

패킷을 어디로 보낼지 모를 때, 기본 게이트웨이로 우선 전송 됨.

 

- DNS(Domail Name System)

IP주소는 사람이 기억하고 활용하기에 어려우므로,

숫자로 이루어진 IP주소 대신 의미있는 문자열로 이루어진 Domain Name을 주소로 활용하는 것이 DNS임.

클라이언트에서 도메인 네임으로 요청하면, 도메인서버가 해당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반환하고,

최종적으로 해당 IP주소를 가진 서버로 접속할 수 있게 됨.

 

 

참조

https://sjquant.tistory.com/59

 

쉽게 설명하는 네트워크 (IP주소, DNS, 네트워크, 호스트, CIDR, Private IP, 포트포워딩)

IP 주소가 뭔가요? IP 주소는 각각의 컴퓨터 기기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주소입니다. 우리가 우편주소로 집의 위치를 찾는 것처럼, 컴퓨터는 IP주소라는 주소체계를 통해 컴

sjquant.tistory.com

https://m.blog.naver.com/wnrjsxo/221191938036

 

IPv6(Internet Protocol v6)

● IPv6 현재 사용하는 IP 버전은 4 로, IPv4 로 표현한다. IPv4 주소는 32비트로 구성되며, 네트...

blog.naver.com

https://limkydev.tistory.com/168

 

[Network] IP주소 클래스(A,B,C class)란?

*선행지식 2018/11/10 - [전공지식/Network] - [Network] IP주소란? (IP클래스를 이해하기 전 IP주소에 대해서 먼저 아셔야 이해하기 쉽습니다.) 1) IP주소의 클래스란? 지난시간 IP주소에 대해 배웠는데 잠시

limkydev.tistory.com

https://aws.amazon.com/ko/route53/what-is-dns/

 

DNS란 무엇입니까? – DNS 소개 - AWS

12개월 동안 AWS 프리 티어에 액세스하고 연중무휴 24시간 고객 서비스, 지원 포럼 등을 비롯한 AWS Basic Support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Amazon Route 53는 AWS 프리 티어에서 제공되지 않는다

aws.amazon.com

https://brownbears.tistory.com/195

 

Gateway란?

게이트웨이는 ‘관문’이나 ‘출입구’라는 의미로 다양한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의 게이트웨이는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

brownbears.tistory.com

https://blog.naver.com/hai0416/221607511806

 

라우팅(Routing)과 기본 게이트웨이(Default gateway) 뜻과 개념

지금까지 다룬 이야기들을 이해만 하며 따라왔어도 적어도 전문대 한 학기 ~ 1년 정도 그냥 학교만 다닌 학...

blog.naver.com

 

+ Recent posts